본문 바로가기

전공 공부

APM 이란?


APM이란 Apache + PHP + MySQL 의 합성어 입니다. 물론 모두 무료 입니다.

먼저 앞으로 PHP를 공부하기 위한 환경을 알아봐야 겠죠? 그래서 간단한 소개글을 올립니다. 물론 리눅스 환경이라는 전제하에 말씀드리는 것이지만,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APM환경은 윈도우에서도 동일하게 사용가능하니까요... 여기서는 설치에 대한 부분은 언급하지 않습니다. 많이 어렵거든요.. 여기서는 단지 재미 삼아 읽어 볼만한 거리를 만들어 미리 긴장을 풀어보자는 의도 입니다. 그러니까.. 반드시 재미만을 생각하고 읽어주세요.. 근데..왠지 재미 없을거 같은데.. ^^:a

-----------------------------------------------------------------------------------

1) Apache - 웹은 다른 인터넷 서비스들 (ftp, news 등등) 과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입니다. 아파치는 오픈소스 개발방식을 통해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입니다. 아파치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되지만 윈도우 시스템에서도 무리 없이 사용 할 수 있으며, MySQL, PHP도 꼭 리눅스가 아닌 윈도우에서 아파치 서버와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 합니다. 또한 무료이면서도 매우 강력하여 다른 사용 웹서버 프로그램을 누르고 일명 카테고리 킬러 (과반수 이상의 시장점유율로 다른 제품이 해당 시장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는 독보적 인 특정 제품)의 위치에 있습니다. 웹서버는 현제 Apache > IIS > Netscape-Enterprise ... 등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2) PHP - 처음 인터넷 환경이 단순히 텍스트와 이미지만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해 주었던 반면에, 멀티미디어를 표현 하기 시작하면서 부터 웹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이 많아 지기 시작했습니다. 당연히 동적인 페이지를 표현해야만 했었죠. 그렇게 하여 웹상에서 일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인 CGI가 있었는데, 실행 속도나 보안 면에서 문제점이 있었고,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처럼 컴파일을 하지 않고, 웹서버에서 해석을 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은 SSI (Server Side Include) 방식이 등장 하였습니다. 그리고 PHP는 ASP와 함께 가장 일반적인 SSI 방식의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PHP는 서버에서 해석되는 HTML에 내장되어 동작합니다.

ZEND ? -> php가 php3에서 php4로 버전업 되면서 등장한 해석 엔진입니다. ZEND를 사용할 경우 300배 이상의 성능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고 합니다. 현제 대부분의 PHP엔진은 이것을 사용합니다.

다음은 ENZO.com 에 소개된 PHP에 대한 내용입니다.

-----------------------------------------------------------------------------------

PHP는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자바 스크립트와 비슷하다고 생각할수 있습니다.
html 문서안에 직접 코딩할수가 있고 PHP로 만든 프로그램의 확장자를 아파치 서버의 설정에 따라서 html으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에 많은 사용자수를 가지고 있는 Perl 에 비해서 속도가 대단히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새로 나올 PHP4, Zend 같은 경우에는 인터프리터 형식이 나닌 컴파일을 해서 실행을 하기 때문에 C의 최대 장점이있던 속도에서도 별로 뒤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문법두 포인터 없는 C와 비슷하다구 생각이 들 정도로 쉽습니다.
또 하나, PHP에서 가장 좋은 점이라구도 할수 있는 DB와의 연동이 매우 쉽다는 겁니다.
C나 Perl에서두 당근 DB와 연동해서 쓸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사용법이 PHP에 비해서는 아주 어렵습니다.


다음은 PHP에 대한 소개글입니다.

PHP는 1994년 가을 Rasmus Lerdorf에 의해서 처음 만들어졌다.

처음 비공개 판은 그의 홈 페이지에 들어와서 자신의 이력서를 검색하는 사용자를 체크하는데 사용되었고, 외부에 사용된 것은 1995는 초부터 사용되어 Personal Home Page Tools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이것은 몇 개의 특별한 매크로를 사용할 수 있는 단순한 파서(명령 해석) 엔진과 방명록이나 카운터 같이 홈 페이지의 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몇 개의 간단한 유틸리티로 구성되었다.

이 파서가 1995년 중반에 재작성되어 PHP/FI Version 2라고 명명되었다.

FI는 Rasmus가 작성한 html 형식의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는 별도의 패키지다.

그는 이 두가지를 합치고 mSQL을 지원하도록 하여 PHP/FI를 탄생시켰다.

PHP/FI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이에 공헌하였다.

1997년 중반 PHP는 또 다른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때부터 PHP는 Rasmus의 개인이 아닌 팀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새 파서는 Zeev Suraski와 Andi Gutmans가 재작성하였고, PHP Version 3(PHP3)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많은 PHP/FI의 기능들이 옮겨왔고, 그 외에도 많은 기능들이 새로 작성 되었다.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차기 버전은 Zend라는 이름의 PHP 버전 4로써 이전 버전보다 훨씬 더 빠른 인터프리터(명령어 해석기)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지원하고 있는 웹 서버 이외의 서버에 대해서도 실행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첫째, 서버에서 해석되는 스크립트 언어다.

PHP3는 Microsoft의 Active Server Page처럼 server에서 모든 처리가 이루어지는 script 언어 입니다.


둘째,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쉽게 해준다.

PHP3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여러종류의 Database를 쉽게 지원하는 것입니다.

Unix 환경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mySQL, PostgresSQL, mSQL, Unix dbm 등의 database를 포함하여 Oracle, Sybase, Infomix 등의 상업용 database를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ODBC를 통한 사용도 가능합니다.


셋째, UNIX와 WINDOWS환경 모두에서 작동 가능(티 플랫폼)

PHP3는 Unix와 Windows 환경에서 모두 작동합니다.

Windows NT의 IIS에서 CGI 방식이나 multi-threading 방식으로 모두 동작하며, Windows에서 Apache Server상에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Unix 환경에서 Apache Server와 통합하여 CGI 방식이나 module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넷째, 코드 작성이 쉽고 간단

PHP3의 문법은 Perl, C 언어의 문법과 비슷하며, class를 지원하여 효율적인 코딩이 가능합니다.

-----------------------------------------------------------------------------------

3) MySQL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DBMS의 한 종류 입니다. 하지만 공개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서 가벼우면서 상당한 안전성을 자랑합니다. 공개용 데이터베이스 로는 mSQL, PostgreSQL, MySQL 등이있는데 그 중 전세계적으 로 볼 때 MySQL이 많이 애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HP와도 연결이 용이하고 각종 공개용 웹서버와 연결도 간편하며, C, C++, Java, Python, TCK/TK, 그리고 ODBC도 제공이 됩니다.
ODBC는 windows3.1, win95, NT용 모두 제공이 되고 있으며, Access 와 자료를 연동 할 수 있고 Excel은 물론 Delphi(델파이)와는 DBE 3.2를 사용하여 데이터 연동이 가능하며 C++ Builder와는 DBE 3.0 을 통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이 MySQL을 상업적으로 사용할 경우 DB 개발자들에게 약간의 개발 후원금을 제공하면 제품에 포함하여 개발된 프로그램과 함께 판매도 할 수 있으며 개인적인 용도로만 사용한다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www.syuos.codns.com/?mid=study&document_srl=7435